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요구사항 분석 :: 자료 흐름도(DFD), 자료 사전(DD)

by 램플릿 2024. 4. 2.
요구사항 분석의 개요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명세화)하는 활동.

- 사용자 요구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용·일정에 대한 제약을 설정.

- 요구사항 분석 결과는 SW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가 됨.

- 소프트웨어 분석가에 의해 요구사항 분석이 수행됨.

 

구조적 분석 기법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요구사항 분석 방법.

★ 구조적 분석 기법에서는 자료 흐름도(DFD), 자료 사전(DD), 소단위 명세서(Mini-Spec), 개체 관계도(ERD), 상태 전이도(STD), 제어 명세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 도형 중심의 분석용 도구와 분석 절차를 이용. ☞분석가와 사용자 간의 대화가 용이

- 하향식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세분화. 분석의 중복을 배제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표현, 전체 시스템을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음.
- 시스템 분석의 질이 향상되고, 시스템 개발 모든 단계에서 필요한 명세서 작성이 가능.

 


* 자료의 흐름 : 자료는 각 절차에 따라 컴퓨터 기반의 시스템 내부를 흘러다니는데, 이를 자료의 흐름이라고 한다.

* 하향식 방법 :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전체적인 수준에서 상세 수준까지 위에서 아래로 단계별로 분리하여 모델링하는 것.

 

 

 


자료 흐름도 (DFD)
Data Flow Diagram

 

-요구사항 분석에서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

-시스템 안의 프로세스와 자료 저장소 사이에 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

-버블 차트, 자료 흐름 그래프 라고도 함.

-자료는 처리(Process)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이름이 부여됨.

-처리는 입력 자료가 발생하면 기능을 수행한 후 출력 자료를 산출.

-프로세스 Process ○,  자료흐름 Flow →, 자료저장소 Data Store 〓, 단말 Terminator □의 네가지 기본 기호로 표시한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19836&cid=42344&categoryId=42344

 

자료 사전 (DD)
Data Dictionary

자료 흐름도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 (메타데이터)

 

<자료사전에서 사용되는 기호> ★★★

= 자료의 정의 : ~로 구성되어 있다. (is composed of)

+ 자료의 연결 : 그리고(and)

(  ) 자료의 생략 : 생략 가능한 자료(Optional)

[ | ] 자료의 선택 : 또는(or)

{  } 자료의 반복 : Iteration of

   ① { }n : n번이상 반복   ② { }ⁿ : 최대 n번 반복   ③ { }mⁿ : m이상 n이하로 반복

*  * 자료의 설명 : 주석(Comment)

 

예시 )

domestic no. =  ( (0) + area code) + local number

area code = [ 02 | 031 | 032 ]

local number = *같은 지역 내에서는 지역번호 없이 연결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