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 학과시험 대비 내용정리
오늘의 공부
안전표지
▷주의표지 (붉은 테두리 삼각형 + 황색 배경 표지판)
도로 주변에 위험물이 있거나 도로 상태가 위험할 경우 도로 이용자가 미리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표지이다.
▷규제표지
도로교통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제한 또는 금지되는 규제를 하는 경우 이를 도로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지이다.
▷지시표지 (청색 표지판)
도로교통 안전을 위해 도로 통행 방법, 통행 구분 등 지시가 필요할 경우 도로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표지이다.
▷보조표지 (사각형 흰색 표지판)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의 주요 기능을 보충해 도로 이용자에게 알리는 표지이다.
▷노면표시
주의, 규제, 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 선으로 표시해 도로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지이다.
🔗참고링크 -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 교통안전표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5665563&categoryId=43667
통행 방법
<신호등 없는 교차로에서 양보운전>
1. 먼저 교차로에 진입한 차 우선
2. 폭이 넓은 도로에서 진입한 차 우선
3. 우측 도로에서 진입한 차 우선
4. 좌회전 하려는 경우, 직진하거나 우회전하려는 차 우선
<버스 전용차로를 통행할 수 있는 차>
- 36인승 이상 승합자동차
- 시내·시외·농어촌 버스(36인승 미만)
- 어린이 통학버스
- 통학·통근용 승합자동차(16인승 이상)
- 긴급자동차(긴급 용무 시)
- 택시(승객의 승강을 위한 일시 통행)
-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의 경우) 9인승 이상 승용 및 승합자동차(승용 또는 12인승 이하의 승합자동차는 6인이상 승차시)
🎓 새로운 지식
원동기장치자전거 : 이륜자동차 중 배기량 125cc 이하의 이륜자동차와 배기량 50cc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
서행 장소
- 교통정리를 하지 않는 교차로
- 도로가 구부러진 부근
-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
-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
- (+이면도로에서 보행자 옆을 지날때)
일시정지 장소
- 교통정리를 하지 않고, 좌우를 확인할 수 없거나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
- 보행자가 횡단중인 횡단보도 앞 정지선
- 어린이 통학버스 측방 통과 시
- 일시정지 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곳.
🎓 새로운 지식
Creep 크리프 현상 : 엔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자동차가 천천히 움직이는 현상. (P와 N 이외에 변속기 레버를 두어야 함)
안전운전 장치
접합(라미네이팅)유리 - 자동차 전면 유리
: 판유리 두 장 사이에 PVB필름을 삽입하여 일반 유리의 취약점을 보완. 유리파편이 날아 흩어지지 않아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하고 사고 때 시야를 확보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주행 또는 사고 시 날아드는 물체가 관통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강화유리 - 옆, 뒤 창 유리와 선루프 유리
: 한 장의 유리로 구성되지만, 강도가 높아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날카롭지 않은 무수히 많은 조각들로 깨진다.
ABS (anti-lock brake system)
: 초당 40회정도 전자식으로 강하게 잡았다 풀며 급제동시에도 조향이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두두둑 두두둑'하는 진동이 브레이크페달에 전달되기도 하지만 이는 정상적인 작동을 의미하므로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떼지 말고 강하게 밟고있어야한다.
ESC 또는 ESP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 ESProgram)
: 전자적 차체 자세 제어 장치. 법령상 명칭은 자동차 안정성제어장치이다.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속도, 회전, 미끄러짐 등을 계산하여 실제 값과 운전자가 의도한 값을 비교, 계산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 브레이크와 엔진 출력 등을 운전자가 의도한 만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스로 개입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
예) 자동차 코너링→횡방향으로 하중이 이동→접지력을 상실한 전륜/후륜으로 인해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가 발생할 우려 있음→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로 타이어 성능을 강제로 제한함. ESP는 이처럼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사고를 예방.
ECS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 전자 제어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세팅을 전자적으로 조정하여 속도, 노면 상태 등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 새로운 지식
서스펜션 : 차륜(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 노면 충격 흡수, 타이어 접지력 확보의 역할을 한다.
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 차선 이탈 경보 장치.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고 차선을 이탈한 경우 앞유리 상단 카메라를 통해 전방의 차선 상태를 인식하고 경고음/핸들진동 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타이어 휠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타이어 압력 상태를 체크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
ASD (Amplitude Selective Damper)
: 진폭 감응형 댐퍼. 댐퍼 내부의 슬라이딩 밸브의 진폭에 따라 오일의 압력을 다르게 해 감쇠력을 다르게 하는 댐퍼.
🎓 새로운 지식
댐퍼 : Shock Absorber, 흔히 쇼바라고 불리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장치
[사고 시 행동 순서]
1) 부상자 확인 , 응급구조 신고
2) 비상등 작동 및 안전삼각대 설치로 2차사고 방지
3) 경찰 및 보험사 신고
4) 사고현장 증거 확보, 바퀴 진행방향 사진 촬영, 과실차량 여부, 손상정도 파손 정보 근접촬영, 블랙박스영상 확보 등. (촬영 불가 시 목격자 정보 수집)
🎓 새로운 지식
더치리치 - 앉은 좌석과 반대편 손으로 문을 잡고 내려, 사각지대 확인 및 개문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학과시험 문제 풀이»
[보행자 등의 보호]
Q. 관할 지방경찰청장에게 노인 보호구역의 지정을 신청할 수 없는 자로 맞는 것은?
1) 특별시장
2) 광역시장
3) 특별자치도지사
4) 광역시 군수 ✔️
Q. 어린이 통학버스로 신고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승차정원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11인승 이상
2) 16인승 이상
3) 17인승 이상
4) 9인승 이상 ✔️
Q. 중앙선이 설치되지 아니한 도로에서 어린이 통학버스를 마주보고 운행할 때 올바른 운행 방법은?
1) 어린이가 타고 있음을 표시한 점멸등이 작동 중인 경우 그냥 지나친다.
2) 어린이가 타고 있음을 표시한 점멸등이 작동 중인 경우 서행한다.
3) 어린이가 타고 있음을 표시한 점멸등이 작동 중인 경우 일시정지하여 안전을 확인한 후 서행한다. ✔️
4) 어린이가 타고 있음을 표시한 점멸등이 작동 중인 경우 가속하여 지나친다.
Q.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로 횡단하는 노인을 뒤늦게 발견한 승용차 운전자가 급제동을 하였으나 노인을 충격(2주진단)하는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 올바른 설명 2가지는?
1) 보행자 신호등이 없으므로 자동차 운전자는 과실이 전혀 없다.
2) 자동차 운전자에게 민사 책임이 있다. ✔️
3) 횡단한 노인만 형사 처벌 된다.
4) 자동차 운전자에게 형사 책임이 있다. ✔️
Q. 자전거 통행방법애 대한 설명으로 맞는 2가지는?
1) 자전거 운전자는 안전표지로 통행이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2대 이상이 나란히 차도를 통행하여서는 아니된다. ✔️
2) 자전거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에는 자전거를 끌고 통행하여야 한다 .✔️
3) 자전거 운전자는 도로의 파손, 도로 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를 통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보도를 통행할 수 없다.
4) 자전거 운전자는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지 아니한 곳에서는 도로 중앙으로 붙어서 통행하여야 한다.
Q. 어린이 통학버스의 특별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2가지는?
1) 어린이 통학버스를 앞지르기하고자 할 때는 다른 차의 앞지르기 방법과 같다.
2) 어린이들이 승하차 시, 중앙선이 없는 고로에서는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도 안전을 확인한 후, 서행하여야 한다
3) 어린이들이 승하차 시, 편도 1차로 도로에서는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도 일시정지하여 안전을 확인한 후, 서행하여야 한다. ✔️
4) 어린이들이 승하차 시, 동일 차로와 그 차로의 바로 옆 차량은 일시정지하여 안전을 확인한 후, 서행하여야 한다. ✔️